<style>  태그를 사용해 글꼴이나 색상, 정렬 등 문서의 외관을 설정

 

 

사용법

<style> 
        p{text-align:center;} 
</style>

 

이렇게 내부에 <style> 테그를 써서 바꾸는 방법과 외부의 css파일을 불러오는 방법이 있음

 

  <link rel = "stylesheet" href = "주소/파일명.css" >

주소는 다른 위치에 있을때 기입 

이런 방식을 사용하면 코드를 분리해서 css의 변경사항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는 장점

 

css 뿐만 아니라 테그 별로 style="속성값" 을 주어서 따로 관리할 수도 있다

 

 

/* 전체를 선택할 때 */
*{margin:0; padding:0;}

/* 클래스(class) 선택할 때 */
.className{margin:0; padding:0;}

/* 아이디(id)를 선택할 때 */
#idName{margin:0; padding:0;}

/* 한개 이상을 선택할 때 */
h1, h2 {margin:0; padding:0;}

 

캐스캐이딩이란

스타일 적용에 우선순위를 두어서 겹치는 부분의 요류를 해결 한다

 

중요도 순 

1. 인라인 스타일 - 태그에 직접따로 style 속성 값을 부여한 것

2. id 스타일 - 해당 아이디만 해당 / 문서 안에서 한번만 적용

3. class 스타일 - 해당 클래스에만 적용 여러번 적용 가능

4. 태그 스타일 - 해당 태그만 적용 문서안의 모든 태그는 적용

 

다른 스타일 보다 가장 우선시 되어야한다면

속성값 뒤에 ;전에 !important 붙이기 

 

 

'코딩 공부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<7> 배경  (0) 2021.03.09
<6> 텍스트 스타일  (0) 2021.03.09
<4> 폼 관련 태그  (0) 2021.03.06
<3> 이미지와 페이지링크(앵커)  (0) 2021.03.05
<2> 태그 정리  (0) 2021.03.04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