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문자열
# 한줄인 경우
# 큰 따옴표 " "
# 작은 따옴표 ' '
# 문자열이 여러줄인 경우
# """ """ 큰 따옴표 3개
# ''' ''' 작은 따옴표 3개
# \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
# \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
# \\ 문자 \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
# \' 작은따옴표(')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
# \" 큰따옴표(")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
# \r 캐리지 리턴(줄 바꿈 문자,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)
# \f 폼 피드(줄 바꿈 문자, 현재 커서를 다음 줄로 이동)
# \a 벨 소리(출력할 때 PC 스피커에서 '삑' 소리가 난다)
# \b 백 스페이스
# \000 널 문자
# 이중에서 활용빈도가 높은 것은 \n, \t, \\, \', \"
# 문자열 더하기 문자열을 변수에 넣어서 사용
더하기1 = "aaa"
더하기2 = "bbb"
더하기_결과 = 더하기1 + 더하기2
# 문자열 곱하기
곱하기 = "="
곱하기결과 = "=" * 5
# 문자열 길이
길이 = "12345"
길이결과 = len(길이)
# 문자열 인덱싱
문자열0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
문자열0_1 = 문자열0[3]
문자열0_1_1 = 문자열0[13]
# 문자열 슬라이싱
문자열0_2 = 문자열0[0] + 문자열0[1] + 문자열0[2] + 문자열0[3]
문자열0_2_1 = 문자열0[0:4] # 간단하게 하는 방법 0 <= 문자열0 < 3
문자열0_2_2 = 문자열0[:4] # 앞에서 일정 길이만큼 자르기 (날짜 자르는데 사용가능)
문자열0_2_3 = 문자열0[8:] # 앞에서부터 잘라서 뒤에 가져오기
문자열0_2_4 = 문자열0[-1:] # 뒤에서 잘라서 가져오기
# 문자열 포맷
# %s 문자열(String)
# %c 문자 1개(character)
# %d 정수(Integer)
# %f 부동소수(floating-point)
# %o 8진수
# %x 16진수
#. %% Literal %% (문자 % 자체)
숫자대입0 = 3
숫자대입결과 = "I eat %d apples." % 숫자대입0
숫자대입1 = 10
문자대입1 = "three"
문자열결과1 = "I ate %d apples. so I was sick for %s days." % (숫자대입1, 문자대입1)
# 90% 이렇게 쓰고 싶으면 %% 두번 사용하기
# "Error is %d%%." % 90
정렬공백 = "%10s아아" % "hi"
정렬공백반대 = "%-10s아아" % 'hi'
#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꾸기(upper)
a = "hi"
aU = a.upper()
#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꾸기(lower)
a = "HI"
aL = a.lower()
a = " hi "
aD = a.strip()
# 문자열 바꾸기(replace)
a = "Life is too short"
aRe = a.replace("Life", "Your leg")